사진 = 직방 자료
코로나19이후 주거공간 선택시 교통보다 공세권·숲세권 등 쾌적성을 더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행이나 외부활동이 줄어든 대신 집이나 집 주변 가까운 곳 위주로 활동 범위가 달라지면서 집 근처 산책가능한 곳이 있는 쾌적한 주거지의 몸값이 더욱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8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이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1517명을 대상으로 주거공간을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따지는 입지와 외부구조 요인을 조사한 결과, 공세권·숲세권 등 쾌적성을 선택한 응답자가 31.6%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발코니, 테라스, 마당’을 비롯한 서비스·여유공간을 꼽은 비율이 22.8%, 편의시설 인접은 13.1% 순이었다. ‘교통편리성’은 12.7%, 보안·치안 등 ‘안정성’은 5.1%에 그쳤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주거공간을 선택할 때 입지나 외부구조에 대해 선호하는 요인이 달라졌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10명 중 7명이 ‘그렇다’(69.7%)라고 답했다. 코로나19 시대에 더 필요한 내부 공간 기능으로는 47.9%가 홈트레이닝, 홈카페를 비롯한 ‘취미, 휴식 및 운동 기능’을 꼽았다. 여행이나 외부활동이 줄어든 대신, 집이나 집 주변 가까운 곳에서 주로 활동하게 된 데 따라 선호 요인도 바뀐 것으로 풀이된다.
유연 및 원격근무가 정착된다면 직주근접과 상관없이 현재 거주지에서 이사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는 65.6%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인천(72.2%) 서울(68.3%), 5대 광역시(67.7%) 등 대도심 거주자들 사이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근무형태가 유연 및 원격 근무로 정착된다면 대도심을 벗어나겠다는 수요가 많아 주거공간의 지역적 변화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직방 함영진 빅데이터랩장은 "코로나19로 업무환경이 및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해 건설업계와 인테리어 업계에서는 보다 다양한 평면구조와 서비스 형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면서 "근무형태가 유연 및 원격 근무로 정착된다면 대도심을 벗어나겠다는 수요가 많아 주거공간의 지역적인 변화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c)찾아가는 뉴미디어 서치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