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INA
세상을 바꾸는 작은힘 - 아미나
영카트
|
베이직테마
|
아미나빌더
|
그누보드
기사제보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도서
문화
영화
생활
여행
날씨
지역
해외리포트
민족/국제
스타
연예
스포츠
탐사보도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도서
문화
영화
생활
여행
날씨
지역
해외리포트
민족/국제
스타
연예
스포츠
탐사보도
메인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생활
지역
스타
스포츠
탐사보도
0
해외리포트
민족/국제
지역
해외리포트
해외리포트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E-mail
홈페이지
옵션
HTML
제목
필수
안내
지도
웹에디터 시작
> > > {이미지:0} > [사진 = 백악관 유튜브] > > >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과 악수한 직후 옷에 손을 닦는 모습이 포착돼 무례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고 미국 폭스뉴스가 24일 보도했다. > > 24일 미국 폭스뉴스는 신종 코로나 바이스러 감염증 유행 후 많은 미국인들이 세균에 민감해졌지만, 해외 정상과의 공식 행사에서 이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은 무례라고 보도했다. > >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문 대통령은 방미 사흘째인 지난 21일 백악관에서 해리스 부통령을 접견했다. 이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해리스 부통령은 캘리포니아주에 한국인 교포가 많이 거주하고 있다는 점을, 문 대통령은 해리스 부통령의 유리천장 극복을 각각 언급하며 친근함을 과시했다. > > 모두 발언이 끝난 뒤 해리스 부통령이 "고맙다"며 문 대통령에게 먼저 손을 내밀어 악수를 청했다. 그런데 악수를 마친 뒤 해리스 부통령이 자신의 옷 상의와 하의에 손을 문질러 닦았고, 이것이 백악관 유튜브를 통해 고스란히 공개되며 논란이 됐다. > > 이에 대해 현지 네티즌들은 해리스가 문 대통령에게 결례를 범했으며, 만약 공화당 정치인이 같은 행동을 했으면 훨씬 더 심한 비판을 받았을 거라는 지적을 쏟아내고 있다. 한 트위터리안은 “이 사람이 미국 부통령 맞나. 공화당 소속이었으면 인종차별주의자라는 기사로 도배됐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 > 한편 해리스 부통령의 예절 의식은 최근에도 도마 위에 오른 적이 있다. 지난 3월 말 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투에 탑승하면서 경례하는 병사에게 경례하지 않는 등 여러 차례 실수를 저질렀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 > 해리스 부통령은 캘리포니아주를 대표하는 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미국 역사상 최초의 아시아계·흑인계 부통령이다. > > > [저작권자 (c)찾아가는 뉴미디어 서치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유튜브, 비메오 등 동영상 공유주소 등록시 해당 동영상은 본문 자동실행
링크 #2
첨부파일
추가하기
삭제하기
첨부사진
상단출력
하단출력
본문삽입
본문삽입시 {이미지:0}, {이미지:1} 과 같이 첨부번호를 입력하면 내용에 첨부사진 출력 가능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작성완료
취소
+
최신뉴스
윤 대통령 구속 후 경찰, 삼청동 안가 및 경호처 압수수색 재시도
비트코인, 사상 첫 8만 달러 돌파…트럼프 당선에 투자심리 고조
LG전자, IFA 2024서 이동형 AI 홈 허브로 해외 매체 호평…생활가전도 주목
한동훈 "계엄령 의혹, 근거 없으면 국기 문란"…11년 만의 여야 회담 하루 만에 긴장
애플, 9월 9일 아이폰 16 공개 행사 개최…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에 초점
2024 원주청년축제, '원터치 페스티벌' 8월 23일부터 이틀간 개최
노란봉투법, 국회 통과 후 대통령 거부권 위기 직면
+
포토뉴스
윤 대통령 구속 후 경찰, 삼청동 안가 및 경호처 압수수색 재시도
+
인기뉴스
1
윤 대통령 구속 후 경찰, 삼청동 안가 및 경호처 압수수색 재시도
2
비트코인, 사상 첫 8만 달러 돌파…트럼프 당선에 투자심리 고조
3
LG전자, IFA 2024서 이동형 AI 홈 허브로 해외 매체 호평…생활가전도 주목
4
한동훈 "계엄령 의혹, 근거 없으면 국기 문란"…11년 만의 여야 회담 하루 만에 긴장
5
애플, 9월 9일 아이폰 16 공개 행사 개최…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에 초점
6
2024 원주청년축제, '원터치 페스티벌' 8월 23일부터 이틀간 개최
7
노란봉투법, 국회 통과 후 대통령 거부권 위기 직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