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문화재청]
하얀 갈기 말 위에 푸른 옷을 입은 청 황제(추정)가 매서운 눈빛으로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화살통을 등에 맨 가신 일부는 호랑이 가죽으로 덧옷을 입었다. 조총을 겨누거나 활을 금방 쏠 태세의 인물도 보인다. 특유의 단추가 돋보이는 모자와 휘날리는 의장기로 볼 때 배경은 17~18세기 청나라. 스산한 가을 산야에서 호랑이와 사슴 등을 사냥하는 장면이다.
이 같은 그림을 수렵도 가운데서도 특히 호렵도(胡獵圖)라 부른다. 오랑캐(胡)가 사냥하는(獵) 그림이란 뜻이다. 한족인 명나라를 추종했던 조선은 만주족인 청을 오랑캐로 낮춰 봤다. 청나라가 일으킨 전쟁도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1637)처럼 호란(胡亂)이라 불렀다. 그러나 18세기 후반 청의 문물이 대거 유입되면서 그들 문화에 관심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호렵도 제작 붐이 일었다. 현재 국내엔 30여점 전해진다.
조선 정조의 무예정책을 읽을 수 있는 '호렵도 팔폭병풍'(사진)이 미국에서 돌아와 고국의 품에 안겼다. 수묵으로 표현한 산수, 화려한 채색으로 묘사한 인물 등 지금까지 알려진 호렵도 중 예술적 완성도가 가장 높은 작품이다.
문화재청은 '호렵도 팔폭병풍'을 18일부터 국립고궁박물관 내 궁중서화실에서 공개한다고 밝혔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과 함께 지난해 9월 크리스티 뉴욕 경매에서 '호렵도 팔폭병풍'을 약 11억원에 매입해 11월 국내로 들여온 작품이다.
정병모 경주대 교수는 “호렵도는 청나라에 대해 경각심을 늦추지 않고 그들의 전술을 파악하려 한 정조의 의지가 반영된 그림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그림 속 황제의 행렬만큼이나 마상무예 등 현실 군사력이 뚜렷이 묘사된 게 이 같은 이유에서다. 조선의 문과 무를 균형 있게 발전시키려 한 정조는 청 문물을 수용하되 문의 측면에선 책거리(책가도)를, 무의 측면에선 호렵도를 장려했다. 호렵도를 처음 그린 화가도 당대 최고 화원이었던 김홍도(1745-1806?)로 알려진다. 다만 김홍도의 작품은 『임원경제지』에 기록으로만 남아있을 뿐 실물로 전해지는 건 없다. 정 교수는 “이번에 환수된 호렵도는 산수 표현이 김홍도 화풍과 매우 닮아 그 영향을 받은 18세기 후반 혹은 19세기 초 도화서 화원이 그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조선 시대 호렵도의 시작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어서 이번 환수가 뜻깊다"면서 "그동안 민화를 중심으로 한 호렵도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고, 전시·교육 등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c)찾아가는 뉴미디어 서치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